교수
이경아 Kyungah Lee
서울대학교 39동 503호
02-880-1536
leekah@snu.ac.kr
B.S., M.S., Ph.D. 서울대학교, 한국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특별시 한옥문화과 한옥정책연구팀장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 교수를 거쳐 2023년부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제강점기 문화주택 개념의 수용과 전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근대건축 및 도시 변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경성의 주택지-인구 폭증 시대 경성의 주택지 개발』이 있고 2017년에는 정세권의 가회동 한옥단지 개발에 관한 논문으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수여하는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그리고 2020년에는 대한건축학회 남파(박학재)상을 수상했으며, 2012년과 2018년에 각각 서울특별시장 표창을 받았다.
B.S., M.S., Ph.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Kyungah Le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received her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from the same university. She previously worked at the Department of Hanok Culture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aught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Since 2023, she has been teaching and studying at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he received her Ph.D. with her dissertation titled 『Adoption and Evolution of the Concept of Culture Hou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and she continues to study modern architecture and urban changes in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Her representative book is 「Residential Areas in Kyeongseong(Seoul): Development of Kyeongseong Housing Areas in the Era of Population Explosion」. In 2017, she received the Science and Technology Outstanding Paper Award from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for her thesis on the Gahoe-dong Hanok complex development of Jeong Se-gwon, and in 2020, she received the Nampa (Park Hak-jae) Award from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nd was awarded the Seoul Mayor's Commendation in 2012 and 2018.
학력
1995.03.~1999.0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졸업(공학사)
1999.03.~2001.02.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졸업(공학석사)
2001.03.~2006.08.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졸업(공학박사)
경력
2003.10. ~ 2004.09. 일본 호세이대학(法政大学) HIF기금초빙연구원
2007.06. ~ 2013.02. 서울특별시 주택정책실 및 문화관광디자인본부 근무
2013.03. ~ 2023.0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 근무
2023.03.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근무
대외 활동
2024.05. ~ 대한건축학회 논문편집위원회 위원 및 회지편집위원회 부위원장
2024.01. ~ 한국건축역사학회 연구이사
2020.12. ~ ICOMOS 한국위원회 이사
2015.01. ~ 도시사학회 편집위원회 위원
2023.08. ~ 서울특별시 한양도성 세계유산등재 추진위원회 위원
2021.06. ~ 서울특별시 문화재위원회(건축문화재분과) 위원
2020.05. ~ 2022.05.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2022.04. ~ 2024.03. 국토교통부 중앙건축위원회 위원
2021.07. ~ 2023.06. 문화체육관광부 전통사찰지정자문위원회 자문위원
2019.05. ~ 2023.04.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세계유산분과) 위원
2015.06. ~ 2019.06. 서울특별시 건축위원회 위원
2024.05. ~ 2019.05. 서울특별시 한옥위원회 위원
2020.05. ~ 2022.05. 서울특별시 건축자산전문위원회 위원
수상
2020.04. 대한건축학회 남파(박학재)상
2018.09. 서울특별시장 표창(제2289호)
2017.07.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16년 과학기술우수논문상
2012.12. 서울특별시장 표창(제3475호)
2024.11. 한국건축역사학회 2024년 추계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발표상(김가연, 이경아)
2022.11.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년 추계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발표상(윤선희, 이경아)
2021.11.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년 추계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발표상(박채린, 이경아)
2013.10. 대한건축학회 2013년 추계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발표상(단독)
저서
경성의 주택지 - 인구 폭증시대 경성의 주택지 개발 | 도서출판 집 | 2019
백악산 아래 청와대 공간 이야기 (공저) |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 2023
주거문화의 충돌과 융합 – 외래근대주택 100년의 이야기 (공저) | 서울연구원 | 2021
서울 한옥 20년 회고와 확장 (공저) | 서울특별시 | 2020
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신청서 작성 연구용역 보고서 (책임) | 문화재청 | 2020
식민도시 경성, 차별과 파괴까지 (공저) | 서울역사편찬원 | 2020
세계유산을 위한 유산영향평가 지침 (공저) | 문화재청 | 2019
제43차 세계유산위원회 의제분석 (공저) | 문화재청 | 2019
도시재생, 현장에서 답을 찾다 (공저) | 미세움 | 2019
한국 의식주 생활 사전 – 주택활 편 (공저) | 국립민속박물관 | 2019
웃대기행 – 경복궁 서측 사진 이야기집 (공저) | 서울특별시 | 2019
후암동 – 두텁바위가 품은 역사, 문화주택에 담긴 삶 (공저) | 서울역사박물관 | 2016
은뢰 – 조선신궁에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의 풍경 (공저) | 소명출판 | 2015
한국건축개념사전 (공저) | 동녘 | 2013
일상 속 20세기 도시문화유산의 가치와 보존 (공저) | UNESCO 한국위원회 | 2010
한국건축답사수첩 (공저) | 동녘 | 2006
학술지 논문
이하준·이경아·김상태 (2025). 1939~1942년에 계획된 부영주택의 건축적 특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1(2), 153~164.
김가연·이경아 (2024). 1930년대 조선왕릉 재실 영역의 건축적 변화 - 이왕가 예산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0(10), 133~144.
이경아 (2022). 일제강점기 경성 동북부 주택지 개발의 특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8(12), 217~228.
박채린·이경아 (2022). 1950~80년대 한반도 비무장지대 안 대성동마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8(01), 129~140.
박채린·이경아 (2021). 일제강점기 주택의 응접실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10), 95~106.
김충호·이경아·김동민 (2020). 유산영향평가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6(8), 61~72.
이경아 (2018). 1920~30년대 장충단 인근 주택지 개발로 인한 지역 성격의 변화, 건축역사연구 27(4), 17~30.
이경아 (2018). 고도 보존 기본계획 수립 이후 부여 일반상업지역의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4(6), 117~126.
이경아·김하나 (2018). 1920년대 중후반 경성 학강(鶴ヶ岡, 츠루가오카) 주택지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3(1), 71~82.
이경아 (2016). 정세권의 일제강점기 가회동 31번지 및 33번지 한옥단지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2(7), 85~96.
이경아 (2016). 정세권의 중당식 주택 실험,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2(2), 171~180.
이경아 (2016). 조선신궁에서의 신명조 양식 채택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53, 224~232.
이경아·김하나 (2014). 두 우종관 주택(1928년, 1931년)의 건축적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0(9), 179~186.
이경아 (2014). 한옥 보전을 위한 법령 개정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0(5), 121~130.
이경아 (2012). 북촌가꾸기사업 이후 한옥의 소유권 변화 및 소유자 인식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7), 185~192.
이경아 (2009). 경성 동부 문화주택지 개발의 성격과 의미, 서울학연구 37, 47~82.
전봉희·이경아·주상훈 (2006). 다락과 중정으로 본 하노이 도시주택의 지속과 변용,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11), 241~252.
이경아·전봉희 (2006). 1920~30년대 경성부의 문화주택지 개발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3), 191~200.
이경아·전봉희 (2005). 1920년대 일본의 문화주택에 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8), 97~106.
전봉희·우동선·이경아 (2001). 북경 사합원의 현재적 변용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3), 137~146.
학술발표대회 논문
김가연·이경아 (2024). 구 이왕가동경저의 건축적 특성과 의미,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28.
Kyungah Lee, Kyungeun Lee (2024). The policies for the conservation of traditional villages as a double-edged sword: The case of Bukchon Hanok Village in South Korea, ISAIA2024 proceedings.
Gayeon Kim, Kyungah Lee (2024).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style houses of the Daehan Empire’s Imperial Famil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ISAIA2024 proceedings.
이경아 (2024). 해방 직후 건축술어 제정위원회 활동과 장기인의 건축술어,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35~238.
윤선희·이경아 (2024). 유네스코의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목록’ 연구 –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6.
오아현·이경아 (2023). 1922년 평화기념동경박람회에 전시된 조선관의 건축적 특징,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5~198.
임나영·이경아 (2022). 1970년대 말~80년대 민간인 통제구역 내 재건촌 양옥의 조성 및 건축적 특성,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5~100.
한진엽·이경아 (2022). 일제강점기 건축기술서 및 잡지에 나타난 주택 창문에 대한 인식,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43~246.
임나영·이경아 (2021). 1960~70년대 재건촌(再建村)의 성립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7~40.
박채린·이경아 (2021). 1973년 조성된 통일촌(統一村)의 건축적 특성과 의미,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32.
조아라·이경아 (2021). 조선시대 행궁의 입지 및 특성,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3~96.
구성준·이경아 (2019). 경주시 황남동 일대 한식 건물 주거지 형성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55~258.
이경아 (2019). 건축가 박길룡의 주택개량론과 경운동 민병옥 가옥,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이경아 (2018). 1920~30년대 경성 동북부의 혜화동 주택지 개발,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16.
이경아 (2018). 의사 와타나베의 서사헌정 주택과 위생 문제,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7~20.
이경아 (2018). 1920년대 말 경성 교외의 소화원 주택지 개발과 한양도성의 훼철,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9~152.
이경아 (2018). 고도 공주의 일반상업지역 및 준주거지역 내 건축물 용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3~106.
이경아 (2017). 고도 부여의 일반상업지역 내 건축물 용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이경아 (2015). 정세권의 중당식 한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65~166.
이경아 (2013). 두 동의 우종관 주택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23~224.
이경아·전봉희 (2006). 경성 부외 사꾸라가오까 주택지 개발의 의미,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9~146.
이경아·전봉희 (2000). 신 중국 성립 이후 북경 사합원 주택의 평면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25~628.